초기에는 약물치료 등 보존적 치료, 손발저림 나타나면 수술적 치료가 시급히 필요

 
 
직장인 최모(남, 52세)씨는 가끔 어깨의 뻣뻣함이나 경미한 손의 저림을 느꼈으나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그러다 얼마 전 가벼운 교통사고로 목에 충격을 받은 후 사지가 마비되는 증상이 나타나 수술을 받아야 했다. 정밀 검사 결과 최씨의 병명은 ‘후종인대 골화증’이었다.

후종인대 골화증은 목뼈 바로 뒤에 세로로 붙어 있어 척추체의 뒤쪽과 척추관의 앞쪽을 지지하는 후종인대가 뼈처럼 딱딱해져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며 뼈처럼 굳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딱딱해진 인대는 뒤쪽의 척수신경을 누르기 때문에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한국인과 일본인 등 동양인에게서 주로 나타나고 유전적 요소가 많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외상, 당뇨병, 비만, 강직성 척추염 등과도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발병 주 연령층은 40대 이후의 장년층이 대부분이며, 여성보다 남성의 발생률이 더 높다.

척추관절 통증치료 구로예스병원 차기용 원장은 “초기에는 목 부근의 통증이 나타나고 뻣뻣한 느낌이 있는데 이러한 증상은 오십견이나 목 디스크와 비슷하기 단순 통증으로 여기고 물리치료만을 받아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다”라며 “심해지면 손의 저림, 감각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심해지면 하지마비가 올 가능성이 있으며, 이 때문에 보행장애 및 대소변ㆍ성기능장애 등 등의 심각한 증상으로 진행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게다가 후종인대 골화증은 신경이 심하게 눌려 있는 상태기 때문에 위 사례처럼 접촉 사고나 낙상 등 작은 충격에도 신경손상이 일어날 수 있어 위험하다. 따라서 목디스크나 오십견 치료를 받는데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후종인대골화증을 의심하고 정밀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후종인대 골화증의 초기 단계에서는 증상 완화를 위해 침상안정,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을 시행해보고 호전이 없다면 적극적인 시술을 고려해야 한다. 이후에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아 보행장애나 손의 운동장애가 있을 때에는 수술적 치료를 하루빨리 하는 것이 좋으며, 증상이 심하지 않더라도 신경이 심하게 눌렸을 때는 마비를 예방하기 위해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다.

시술 방법으로는 피부를 절개하지 않고 가는 관을 삽입하여 치료하는 신경성형술이 있으며, 수술방법으로는 주요 병변에 따라 척추후궁을 확장하거나 경추부 전방부의 병변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예스병원 차기용 원장은 “후종인대 골화증은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특별한 예방법은 없지만,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자주 목을 풀어 주는 것이 목 근육의 경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며 “목의 굴곡을 심화시키는 엎드려서 책보기, 높은 베개 베기, 누워서 텔레비전 보기와 같은 자세는 피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뷰티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