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조 원 규모 거대시장·'ST 마크' 선택사항이지만 취득하지 않으면 유통 안돼!

 
 
2011년 기준 6921억 엔(약 10조원) 규모로 거대시장을 형성하며 관련 기업들에게 꿈의 시장으로 인정되는 일본 유아용 장난감시장이 까다로운 규제 등으로 국내 기업들에게 쉽지 않은 시장이 되고 있어 주목된다.

철저한 시장조사 없이 성급한 진출로 낭패를 보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 특히 (사)일본 완구협회에서 식품위생법 등을 고려한 자주적 안전 기준을 설정해, 기준을 달성한 제품에 부여하는 ST마크가 시장 내에서 암묵적으로 필수 사항으로 인지되고 있지만 마크 획득을 등한시해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많아 철저한 시장조사가 필요할 전망이다.

코트라 후쿠오카 무역관이 일본 내 자료를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 일본 유아용 장난감시장은 2008년 리먼 쇼크 이후 시장이 주춤하기도 했으나 바로 회복세를 보였으며,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한 2011년에도 전년 대비 3.4% 성장하면서 건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일본의 유아용 장난감시장은 화학물질을 중심으로 철저한 규제로 시장 진입이 쉽지 않아 철저한 시장 조사와 대응전략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일본에서는 장난감의 안전성을 위한 법으로는 일반 장난감은 식품위생법, 전기를 이용한 장난감은 전기용품안전법의 규제를 받으며, 소비자(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ST마크(Safety Toy Mark)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이 중 식품위생법 규제의 경우는 유아가 접촉할 경우 건강상 위험을 유발할 우려가 있는 장난감의 중금속, 비소 등 유해 물질 함유량을 규제하는 것으로 장난감 원재료에 폴리염화비닐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 등 유해 물질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 등이 주목적이다.

 
 
ST마크 제도는 (사)일본 완구협회에서 식품위생법 등을 고려한 자주적 안전 기준을 설정해 기준을 달성한 제품에 ST마크를 부여하는 제도로 ST마크 부착 제품에서 안전 사고가 발생하면 최고 1억 엔까지 보상도 하고 있어 도소매 메이커에도 높은 평가를 얻고 있다.

전 기준은 기계∙물리적 특성, 가연물질, 화학적 특성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일본 문화용품안전시험소, 화학기술전략추진기구, 화학물질평가연구기구를 통해 시험을 하고 있다.

이미 ST마크는 일본에서 유통되는 대부분의 제품에 적용되고 있으며 외국기업에 ‘필수 의무사항’이 아닌 ‘선택 사항’으로 비치지만, 이 마크를 취득하지 않으면 유통시키지 않는다는 암묵적인 규칙이 일본 내에 형성되어 있어 일본 진출시 ST마크는 필수 항목이다.

이와 관련 코트라 후쿠오카 무역관은 “일본의 유아용 장난감시장은 10조 원 수준의 큰 규모를 자랑하지만, 엄격한 법과 자주지침이 존재하고, 특히 화학물질 관련 규제는 매우 까다로운 수준”이라면서 “이러한 비즈니스 관행을 숙지하지 않은 채 진출했다가는 큰 차질을 빚을 수 있기 때문에 코트라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기존 진출 기업 인터뷰 등을 통해 충분한 사전 조사를 거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뷰티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