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평균 22.4%에 비해 세배가량 높아

“부천시의 61.7%가 빗물이 침투하지 못하며 이는 수질과 생태계파괴, 도시침수에 심각한 문제다”

환경부는 전국의 불투수 면적률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 국토의 7.9%가 빗물이 침투하지 못하는 불투수면으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국토 면적 중 임야와 수계를 제외하면 전국 22.4%로 나타났으며 이중 부천시가 61.7%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가 전 국토를 대상으로 조사한 첫 사례로 수치지도와 용도지역․지구도, 수치지적도를 활용해 지난 5월부터 4개월에 걸쳐 이뤄졌다.

조사결과, 2012년 전국 평균 불투수 면적률은 7.9%로 나타나 3%였던 1970년에 비해 2.63배나 증가했다.

지방자치단체별로 부천시가 61.7%로 가장 높았고, 서울시 54.4%, 수원시 49.3%, 목포시 46.3%, 광명시 43.9%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적은 지역은 인제군 1.5%, 화천군 1.7%, 정선군 1.8%, 영양군 1.8% 등 강원도와 경북일대가 주를 이루었다.

유역권 조사선 중권역 단위서는 한강서울 권역이 35.6%, 소권역은 서울 청계천이 71.5%로 가장 높았다.

불투수 면적률이 25%를 초과하는 유역은 건강성이 크게 악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정밀한 진단과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외 연구 결과, 유역 내 불투수면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수질오염이 심화되고 하천 내 생물 종다양성과 개체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불투수면의 확대는 자연의 물순환 구조를 왜곡해 강우시 유출되는 빗물의 양을 증가시켜 도시침수를 일으키고, 지하 침투량을 감소시켜 지하수 고갈과 하천 건천화(하천이 마르는 현상)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의 기후 조절 능력을 감소시켜 열섬 현상을 악화시키는 등 도시민의 생활환경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향후 물순환 관리정책 수립을 위한 첫걸음으로서 의미가 있다.”며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국정과제인 ‘지속가능한 물순환 체계 구축’을 위해 그린빗물인프라 확대 등 불투수면 개선사업을 추진하고, 불투수면 관리 제도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불투수면의 확대를 억제하고 물순환 구조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과 그린빗물인프라(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개발사업이나 건축물의 불투수 면적에 비례해 요금을 부과하는 빗물요금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유역 내 불투수 면적의 상한을 11%로 설정해 관리하는 불투수면 총량제를 시행하기도 한다.

서동철 기자 seo@beautyhankook.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뷰티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