닐슨코리아 조사 결과 2명 중 1명 노후 ‘국민연금’에 의존

 
 
2000년 이후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이 7.3%를 기록하며 고령화 사회(고령인구 비율 7%이상)에 진입 한 대한민국 국민 5명 중 1명 이상이 노후에 대한 경제 대책을 전혀 세우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정보분석기업 닐슨코리아가 서울 및 4대 광역시(대전, 대구, 광주, 부산)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8월12일부터 16일 동안 ‘고령화 시대 노후 대비책’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21.8%가 ‘노후를 위해 경제적인 대비책을 전혀 마련하고 있지 않다’고 답변한 것.

▲ <표1 – 노후를 위해 준비하고 있는 대책>
▲ <표1 – 노후를 위해 준비하고 있는 대책>
또한 과반수 이상인 53.2%가 ‘국민연금’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국민 연금 이외의 별도의 경제 대책 없이 노년을 맞이하는 국민이 상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복수응답 결과 노후 경제 대비책으로 ‘적금, 보험 등 금융 자산(49.3%)’, ‘개인연금(37.5%)’, ‘주식, 채권, 펀드, 부동산 투자(20.9%)’, ‘퇴직연금(20.3%)’ 등도 있었다.

▲ <표 2 – 노후 대비가 부실한 이유>
▲ <표 2 – 노후 대비가 부실한 이유>
이어 복수응답으로 노후 대비의 가장 큰 걸림돌에 대해 물은 결과에서는 ‘자녀 양육비 및 자녀 결혼 비용(45.8%)’과 ‘소득 부족(45.0%)’이 꼽혔으며, ‘과도한 생활비 지출(37.7%)’, ‘부동산 구입 등에 따른 부채 부담(33.1%)’, ‘부모 부양(14.7%)’ 등이 뒤를 이어, 자녀와 관련된 지출 비용이 가장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 <표 3 – 노후에 살고 싶은 주거 형태>
▲ <표 3 – 노후에 살고 싶은 주거 형태>
또한 노후에 살고 싶은 주거 형태로는 ‘30평 이하 중소형 주택(63.0%)’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료 문화 레저 시설을 갖춘 고급 실버타운(13.9%)’, ‘40평 이상 대형 주택(13.6%)’, ‘해외 이민(4.5%)’, ‘가정과 같은 주거여건과 급식 편의 등을 제공하는 노인 공동생활 가정(2.2%)’, ‘양로 시설에서 보호를 받으며 집단생활을 할 수 있는 노인 복지 주택 (1.0%)’, ‘노인 전문 병원과 같은 노인 의료 시설(0.6%)’ 등의 순으로 나타나, 노년 인구가 증가할수록 30평 이하 중소형 주택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분석됐다.

▲ <표 4 – 노후 대비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
▲ <표 4 – 노후 대비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
이밖에 노후 대비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로는 ‘노인을 위한 일자리 지원 서비스(38.8%)’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자리, 건강, 여가 등 생활 전반에 대한 맞춤형 노후설계서비스 (22.2%)’,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한 금융, 자산 관리 서비스(18.8%)’, ‘검진, 영양, 운동 등 건강 지원 서비스(12.4%)’, ‘활기찬 노후 생활을 위한 문화, 여가활동 지원 서비스(4.5%)’, ‘간병, 목욕, 간호 지원 등 요양 서비스(3.1%)’ 등이 뒤를 이어, ‘100세 시대’에 접어들며 단순히 건강 및 요양과 관련된 서비스보다는 일자리 및 경제 활동 지원에 대한 서비스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닐슨코리아 사회공공조사본부 최원석 이사는 “한국은 전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국가 중 한 곳이므로, 늘어가는 노인 인구를 위한 맞춤형 지원 서비스 및 노인 인구 경제 부양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며, “아직 초창기 단계인 실버산업도 노인 인구의 다양한 니즈를 흡수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성장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뷰티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