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산업진흥원, 중소 화장품 해외진출 수요조사 결과 발표

[뷰티한국 이상민 기자]화장품 업계가 코로나19 사태 장기화 극복 방안으로 온라인 시장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산업 전반으로 비대면 트렌드 확산됨에 따라 혁신기술 중심의 미래화장품 개발 지원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업계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포스트 코로나 대응, 중소 화장품 해외진출 지원’ 수요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4월 7일부터 5월 7일까지 31일간 진행된 이번 수요조사에는 화장품기업 및 관련 업종 124개사가 응답했다.

조사항목은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유통채널 ▲수출관련 사항 ▲정부지원 사업 ▲ESG경영 등 총 5가지로 나누어 진행됐다.

■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먼저 코로나19로 인한 업계의 변화로 온라인 중심의 홍보 마케팅이 두드러졌다. 온라인 홍보 마케팅에 중점을 둔 기업이 63.7%로 조사됐으며 온·오프라인 병행(33.9%), 오프라인 중심(2.4%)이 그 뒤를 이었다.

 
 

판매에 있어서는 국내·해외 판매를 병행한 기업이 60.5%로 가장 많았으며, 국내 판매 중심(24.2%), 해외 판매 중심(15.3%) 순으로 조사됐다. 또한 수출액이 감소한 기업이 45.2%, 증가 기업 26.6%, 변동 없는 기업 26.6%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으로는 가장 많은 기업들이 ‘온라인 수출상담회 참여로 바이어 발굴(33.9%)’을 꼽았다. 다음으로는 ‘온라인 유통채널 발굴(30.6%)’, ‘온라인 및 비대면 미팅 활성화(14.5%)’, ‘신제품 개발(12.9%)’, ‘품목 변경(4.8%)’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 유통채널

코로나19 이후 유통채널 변화가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73.4%로 나타났다. 그중 온라인 유통채널 확장이 92.3%로 가장 많았으며, 자사몰 개설 27.5%, 오프라인 유통채널 확장 16.5%, 오프라인 유통채널 축소 14.3% 순으로 응답했다.

온라인 입점 유통채널은 국내 오픈마켓(76.6%)이 가장 많았으며, 자사몰(75.8%), 네이버쇼핑(71%), 해외 온라인 마켓(48.4%), SNS마켓(43.5%), 국내 종합 쇼핑몰(35.5%) 순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유통채널 진입 시 애로사항은, 전문 인력 부족 문제(53.2%)가 가장 많았으며, 높은 판매 수수료(17.7%), 대형몰 입점 어려움(16.9%), 자사몰 미흡(3.2%) 순이었다.

■ 수출관련 사항

기초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출하는 국가는 베트남, 미국, 중국 순이며, 색조 화장품은 중국, 일본, 미국, 마스크팩은 중국, 베트남, 일본 순으로 가장 많이 수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진출 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 신규 바이어 발굴(56.5%)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허가 절차 및 비용(32.3%), 국가별 상이한 통관절차(4.8%), 진출국에 대한 시장 정보(3.2%), 언어 등 문화 차이(0.8%) 순으로 조사되었다.

수출 희망 국가는 중국(61.3%)이 가장 많았으며, 미국(48.4%), 베트남(37.1%), 러시아(24.2%)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국가는 말레이시아, 홍콩, UAE, 프랑스 등, 다양한 국가로의 진출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정부지원 사업

또한 업계는 국내외 마케팅, 유통망 확대, 수출 지원, 전문 인력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정부 지원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관련 정부지원 수요는 해외 온라인 마케팅·유통 플랫폼 구축(28.2%)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유망국가 타겟 신제품 개발 지원 사업(23.4%), 해외 대형 온라인 유통망 입점 지원(17.7%), 수출 물류비 및 세제 지원(12.1%) 순으로 조사되었다.

기타 의견으로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한 탄력적 규제, 마케팅 비용 지원, 현지 유통 B2B 바이어 발굴 사업, 온라인 수출 역량 육성 교육 등 다양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 ESG 경영

ESG 경영에 대한 기업 인식도 조사결과는 ‘ESG를 알고 있지만 전략은 없다’고 응답한 기업이 41.9%, ’ESG를 모르고 있다’는 기업이 38.7%나 됐다. ‘ESG를 알고 있고 전략도 가지고 있다’는 기업은 18.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진흥원 김미희 뷰티화장품산업팀장은 이번 수요조사 결과에 대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화장품 산업은 정부가 집중 육성하는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 비대면·맞춤형·지속가능 트렌드에 발 빠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혁신기술 중심의 미래화장품 개발을 위한 맞춤형 정보제공 등 우리 기업들이 산업 전반의 뉴 패러다임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뷰티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