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더하기 하나는 ‘둘 이상’이라는 창발성의 원리가 품값을 더 많이 받게 하는 생활경제학의 비결

▲ 노규수 <법학박사, 해피런(주) 대표>
▲ 노규수 <법학박사, 해피런(주) 대표>

인생사 혼자는 외롭습니다. 사회생활도 그렇고 직장생활도 그렇습니다. 대부분의 세상살이에서는 백짓장도 둘이 맞드는 것이 나은 편입니다.

혼자인 경우와 둘의 경우는 차이는 큽니다. 특히 생태학의 먹이 획득 환경에서는 하나 더하기 하나는 ‘둘(1+1=2)’이 아니라, ‘둘 이상(1+1≧2)’이라는 것이 진리입니다. 그것이 생활경제입니다.

이는 쉽게 증명이 됩니다. 공사판에서 두 명의 인부가 벽돌을 나른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공사판 주인은 인부들이 나른 벽돌 수에 따라 품값을 준다고 합니다.

이때 두 사람이 각자 보자기에 벽돌을 싸서 개별적으로 나르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또 다른 방법은 둘이 함께 나르는 경우입니다. 막대기 두 개 사이에 보자기를 걸쳐 들것을 만들고, 그것에 벽돌을 담아 둘이 실어 나르는 경우입니다.

분명 개별적으로 나른 벽돌 량의 합보다 둘이 들것에 들어 나르는 양이 많을 것입니다. 따라서 두 사람의 인부는 혼자 나를 때보다 더 많은 품값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세 명의 경우는 어떨까요? 휴식(레저)의 개념을 적용시키면 두 사람의 경우보다 훨씬 더 효율적입니다. 두 사람이 들것에 나르는 동안 한 사람은 휴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순번제로 한 사람은 쉬고, 두 사람의 작업은 계속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됩니다.

이를 ‘창발성(創發性. emergent property)’이라고 합니다. “구성하고 있는 두 개 이상의 개체적 요소들이 모여 시스템을 구성함에 따라 생겨나는 이전에 없던 새로운 성질”을 의미하지요.

사람들끼리 마음만 맞는다면, 또한 시스템이 뒷받침된다면 혼자 보다는 둘이, 둘 보다는 셋이 함께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설명하는데 적절한 단어입니다.

‘창발성’은 결코 현대에 등장한 말이 아닙니다. 지금부터 2400여 년 전 기하학을 창시한 유클리드(Euclid)가 주장했지요. 그가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The whole is more than the sum of it's parts)”라는 명제를 제시한 것은 그 때문이지요.

이 같은 논리를 힘과 기술로 겨루는 경기가 있습니다.

빙상경기에서 세 명이 한 조를 이루어 승부를 가르는 팀추월 경기지요.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에서 처음 정식종목으로 채택됐습니다. 팀원들이 3.2km(남자)와 2.4km(여자)를 함께 달리는 스피드스케이팅의 유일한 단체전 경기입니다.

이 종목의 특징은 세 명의 선수 중 가장 마지막에 결승선을 통과한 선수의 기록이 팀 전체의 기록으로 인정된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팀원들의 조화와 단결력이 승패의 관건이 됩니다. 앞에서 선도하는 선수가 팀 내 최고기록자인 경우와 최하인 경우를 치밀하게 계산해 팀 전체의 기록 향상으로 이끌어내야 합니다.

이번 평창올림픽에서 팀추월 여자대표 팀이 문제가 된 것은 작전을 위한 선수들간의 소통 부재였습니다. 그것이 팀 성적 저하의 원인이 됐다는 비난이 쏟아졌지요. ‘창발성’이 사라졌다는 지적과 같은 말입니다.

그렇습니다. 어떤 조직이든지 발전하려면 창발성이 발휘돼야 하고, 창발성이 발휘되려면 구성원 간의 단합된 힘이 필요한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나 자신에 주어진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는 책임감과 솔선수범의 자세가 중요합니다.

또한 팀 전체의 창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보와 겸손의 미덕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앞서 달릴 때는 뒤처지는 사람을 배려하고, 뒤에서 달릴 때는 앞사람을 밀어주는 희생정신이 필요합니다.

그것이 더 많은 품값을 받을 수 있는 지름길입니다.

그래서 정부가 공동체(커뮤니티) 구성에 나섰습니다. 보건복지부는 3월12일 ‘커뮤니티케어 추진본부’와 ‘커뮤니티케어 추진단’을 신설하고, 주변사람들끼리 어울려 살기 위한 추진체계를 구성한다는 계획입니다.

한마음 한뜻으로 뭉치면 불가능은 없기 때문이지요.

●노규수 : 1963년 서울 출생. 법학박사. 2001년 (사)불법다단계추방운동본부 설립 사무총장. 2002년 시민단체 서민고통신문고 대표. 2012년 소셜네트워킹 BM발명특허. 2012년 대한민국 신지식인  대상. 2012년 홍익인간 해피런㈜ 대표이사. 2013년 포춘코리아 선정 ‘2013 한국경제를 움직이는 인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뷰티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